약리학은 약물의 작용에 대한 학문으로서 ‘약물’이란 단지 치료 약물에 국한되지 않고, 세포, 조직, 기관 등의 여러 수준에서
생명체에 생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영향을 미치는 모든 화학물질로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약리학은 해부학, 생리학 등의 기초
과학을 배운 이후에 임상 전공교과목 지식을 습득하는 데 필수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어, 간호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이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간호사와 간호학생이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사용하는 약물을 배우고 익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간호사는 각 약물의 특성과
약물의 분류뿐만 아니라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 약물의 위험과 이점에 관하여 현재 존재하는 논쟁 및 임상시
험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쉽게 제공받고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1. 약물 원형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약물 효과에 따른 임상적 적응증 및 금기증 등의 주요한 약물 정보를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강조되어 있는 것
2. 간호과정 및 대상자 교육에 앞서 간호사가 숙지하고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정리되어 있는 것
3. 그림과 다채로운 칼라로 독자의 흥미를 돋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등을 통하여 이 책을 공부하는 학생과 임상 전문가들이 유익을 얻게 되길 기대한다.
이 책을 통하여 최신 약물의 용량이나 새로운 제형 등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바라며, 그 외의 특정 약물의 상용량, 유해 반응,
금기증, 주의사항, 약물상호작용 및 투여방법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역자는 이 책이 간호대학 학생을 비롯하여 실제 임상에서 간호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모든 의료인에게 필수적이고 실용적인 간호
약리학 교재로서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믿는다.
끝으로 이 책이 발간되기까지 군자출판사 장주연 사장님과 편집진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Chapter 1 간호약리학의 기초‥‥‥‥‥‥‥‥‥‥‥‥‥‥‥‥‥‥‥‥‥1
Chapter 2 자율신경계 약물‥‥‥‥‥‥‥‥‥‥‥‥‥‥‥‥‥‥‥‥‥23
Chapter 3 신경계, 신경근육계 약물‥‥‥‥‥‥‥‥‥‥‥‥‥‥‥‥‥65
Chapter 4 통증약물‥‥‥‥‥‥‥‥‥‥‥‥‥‥‥‥‥‥‥‥‥‥‥‥141
Chapter 5 심혈관계 약물‥‥‥‥‥‥‥‥‥‥‥‥‥‥‥‥‥‥‥‥‥‥183
Chapter 6 호흡기계 약물‥‥‥‥‥‥‥‥‥‥‥‥‥‥‥‥‥‥‥‥‥‥259
Chapter 7 위장관약물‥‥‥‥‥‥‥‥‥‥‥‥‥‥‥‥‥‥‥‥‥‥‥‥289
Chapter 8 비뇨생식기계 약물‥‥‥‥‥‥‥‥‥‥‥‥‥‥‥‥‥‥‥‥341
Chapter 9 혈액계 약물‥‥‥‥‥‥‥‥‥‥‥‥‥‥‥‥‥‥‥‥‥‥‥365
Chapter 10 내분비계 약물‥‥‥‥‥‥‥‥‥‥‥‥‥‥‥‥‥‥‥‥‥399
Chapter 11 향정신성 약물‥‥‥‥‥‥‥‥‥‥‥‥‥‥‥‥‥‥‥‥‥435
Chapter 12 항감염 약물‥‥‥‥‥‥‥‥‥‥‥‥‥‥‥‥‥‥‥‥‥‥481
Chapter 13 항염증 약물, 항알레르기 약물, 면역조절 약물‥‥‥581
Chapter 14 암치료 약물‥‥‥‥‥‥‥‥‥‥‥‥‥‥‥‥‥‥‥‥‥‥610
Chapter 15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위한 약물‥‥‥‥‥‥‥‥‥‥‥‥‥695
부록_인덱스‥‥‥‥‥‥‥‥‥‥‥‥‥‥‥‥‥‥‥‥‥‥‥‥‥‥‥‥716